스포츠팀정보

[st&포커스] '韓 축구 심장이라며? A매치 유치도 못 하잖아'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창피한 현실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st&포커스] '韓 축구 심장이라며? A매치 유치도 못 하잖아'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창피한 현실




[STN뉴스] 반진혁 기자 = 대한민국 축구의 심장이라면서 A매치 유치도 못 한다. 서울월드컵경기장의 현실이다.

FC서울은과 김천상무는 지난 3일 오후 2시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치러진 하나은행 K리그1 2025 3라운드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시선은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잔디로 쏠렸다. 육안으로 확인해도 최악의 상태였다.

서울월드컵경기장 잔디는 듬성듬성 파여있었고 제대로 뿌리가 내리지 않아 맨땅이 보이는 부분이 많았다.

무엇보다 경기력에 영향을 줬다. 서울의 린가드는 드리블 도중 걸려 넘어지기도 했다. 땅이 파여 구멍이 생겼기 때문이다.

잔디가 파여있어 선수들의 패스도 매끄럽지 못했다. 서울의 기성용은 동료에게 볼을 건넨 후 땅을 쳐다보면서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다.



[st&포커스] '韓 축구 심장이라며? A매치 유치도 못 하잖아'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창피한 현실




서울의 김기동 감독은 "1라운드 경기부터 지적된 부분이다. 다른 경기장도 마찬가지다. 이른 개막으로 날씨가 추워 잔디가 얼었다. 잔디 뿌리가 제대로 내리지 못해 파인다. 린가드도 발목이 꺾이는 상황도 나왔다"고 말했다.

이어 "개막은 언제 하든 괜찮다. 다만, 제반 시설이 갖춰져야 한다는 생각이다"고 덧붙였다.

김천의 정정용 감독 역시 "경기장 환경 등이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빠른 템포의 축구를 선보이고 싶었지만, 양 팀 모두 쉽지 않았다"며 그라운드 환경에 대해 아쉬움을 표했다.



[st&포커스] '韓 축구 심장이라며? A매치 유치도 못 하잖아'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창피한 현실






[st&포커스] '韓 축구 심장이라며? A매치 유치도 못 하잖아'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창피한 현실




선수들도 작심 발언에 나섰다.

일본, 독일, 사우디아라비아 무대에서 활약했던 서울의 김진수는 아쉬움을 쏟아냈다.

김진수는 "일본, 독일, 사우디아라비아 리그에서 활약할 때 잔디로 고민한 적이 없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이어 "3월 A매치도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안 열리지 않나. 다 이유가 있는 것이다"며 꼬집었다.

서울의 수비수 야잔 역시 "대한축구협회에서도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잔디 상황을 알기 때문에 경기장을 옮긴 것이지 않겠느냐"며 현실을 꼬집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대표팀은 3월 오만, 요르단과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을 안방에서 치른다.

하지만, 상징인 서울월드컵경기장이 아닌 고양과 수원에서 경기를 치른다. 최악의 잔디 상태 때문이다.



[st&포커스] '韓 축구 심장이라며? A매치 유치도 못 하잖아'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창피한 현실




서울월드컵경기장은 대한민국 축구의 심장이자 상징으로 통한다. 하지만, 잔디 상태로 A매치 개최를 못 한다는 건 월드컵을 주기적으로 출전하는 팀의 홈구장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창피한 현실이다.

서울월드컵경기장은 상업적으로도 매력적이다. 콘서트, 행사, 친선경기로 인한 대관이 다른 지역보다 활발하다.

즉, 수입이 많다는 의미다.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이 충분하다는 말이기도 하다.

성과는 투자가 기반이 되어야 하는데 대한민국 축구의 상징이자 심장인 서울월드컵경기장이 잔디 관리 소홀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는 건 직무 유기다.

STN뉴스=반진혁 기자

[email protected]

▶STN 뉴스 공식 모바일 구독

▶STN 뉴스 공식 유튜브 구독

▶STN 뉴스 공식 네이버 구독

▶STN 뉴스 공식 카카오톡 구독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