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으로 메달 따겠다" 약속 지킨 귀화 선수 압바꾸모바, 한국 바이애슬론 사상 첫 동계 아시안게임 금메달[하얼빈AG]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6 조회
- 목록
본문
[스포츠조선 이현석 기자]'러시아 출신 귀화 선수' 예카테리나 압바꾸모바(35·전남체육회)가 하얼빈동계아시안게임에서 한국 바이애슬론 사상 첫 동계아시안게임 금메달을 안겼다. 압바꾸모바는 11일(한국시각) 중국 야부리 스키리조트에서 열린 여자 7.5㎞ 스프린트 경기에서 22분45초4의 기록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대회 대한민국 선수단이 수확한 12번째 금메달이며, 기존 바이애슬론 최고 성적이었던 2003년 아오모리 대회에서의 남자 계주 은메달을 뛰어넘었다. 2017년 삿포로동계아시안게임에서 김용규의 남자 12.5㎞ 동메달에 이어 두 번째 바이애슬론 개인 종목 메달이다. 바이애슬론은 크로스컨트리와 사격을 결합한 종목이다. 이번 아시안게임에서는 여자 7.5㎞와 남자 10㎞ 스프린트, 여자 4×6㎞ 계주와 남자 4×7.5㎞ 계주 경기가 열린다.
뒷심이 돋보였다. 압바꾸모바는 경기 초반 2.4㎞ 지점까지 선두로 달렸다. 하지만 이내 탕자린(중국)이 선두를 탈환하며 앞서 나갔다. 2위에서 4위를 오가는 상황에서도 페이스를 잃지 않고 인내심을 발휘했다. 6㎞ 지점까지 탕자린에게 1.4초 뒤진 2위였지만, 조급하지 않았다. 막판 스퍼트로 순위를 뒤집으며 가장 먼저 피니시라인을 통과했다. 압바꾸모바와 선두를 다퉜던 탕자린은 마지막에 체력이 떨어졌다. 멍 팡치(중국)에게 2위(22분47초8)를 내주며 3위(23분01초0)에 머물렀다. 함께 출전한 한국 대표팀 동료들도 분전했다. 또 한 명의 귀화 선수인 아베 마리야(26·포천시청)가 10위(24분12초1)에 올랐고, 고은정(29·전북체육회)과 정주미(28·포천시청)는 각각 11위와 14위에 자리했다.
압바꾸모바는 러시아 청소년 대표 출신으로 2016년 12월 한국에 귀화했다. 2017년부터 태극기를 달고 활약했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에도 출전해 여자 15㎞ 개인 경기에서 44분25초3으로 16위에 올랐다. 역대 한국 여자 선수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귀화 이후 모든 여정이 순탄했던 것은 아니다. 2022년 베이징동계올림픽에서 다시 한국 대표로 출전한 압바꾸모바는 4년 전 평창보다 아쉬운 성적을 거뒀다. 여자 15km에서 52분31초4의 기록으로 87명 중 73위에 그쳤었다. 이번 아시안게임에서도 개막 전까지 금메달 유력 후보는 아니었다. 아시안게임 참가가 처음이었고, 잘 하면 메달 획득이 가능할 정도였다. 압바꾸모바는 대회를 앞두고 "한국인으로 거듭나 동계아시안게임에서 메달을 따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각오를 다졌던 압바꾸모바는 개인 종목 금메달로 목표 이상을 달성하며 새 역사를 썼다.
압바꾸모바의 도전은 개인 종목에서 끝나지 않는다. 13일 고은정 정윤아 정주미와 함께 참여하는 여자 4×6㎞ 계주에서 메달 획득에 도전한다. 동메달 이상의 성적을 거둔다면 한국 바이애슬론 역사상 최초로 아시안게임에서 두 개의 메달을 획득한 선수가 된다. 이현석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