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투표에서 끝났다" 정몽규, 압도적 지지 KFA 회장 4선 성공…유표 투표 182표 가운데 156표 득표, 85.7% 지지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3 조회
- 목록
본문
[축구회관=스포츠조선 김성원 기자]이변은 없었다. 정몽규 대한축구협회(KFA) 회장이 4선에 성공했다.
1차 투표에서 끝났다. 정 회장은 26일 서울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열린 제55대 KFA 회장 선거에서 유효 투표 182표 가운데 156표를 득표했다. 득표율은 85.7%를 기록했다. 허정무 후보가 15표를 받은 가운데 신문선 후보는 11표에 그쳤다. 정 회장의 임기는 당선과 함께 시작됐다.
선거인단 192명인 가운데 무려 183명이 투표에 참가한 가운데 1표는 무효표가 됐다. KFA 회장 선거는 1차에서 유효 투표의 과반을 얻는 후보자가 당선된다.
정 회장은 2013년 '4자 구도'에서 당선돼 KFA 수장에 올랐다. 2016년과 2021년에는 대항마가 없었다. 그는 재선에선 '만장일치', 3선에서는 단독 입후보해 무투표로 고지를 밟았다. 그는 12년 만에 실시된 '3자 구도' 선거에서 또 한번 재신임을 받았다.
쉽지 않은 길이었다. 정 회장은 지난해 두 차례의 국회 출석에 이어 문화체육관광부의 특정감사로 출마 결심도 하기 전에 만신창이가 됐다. 가족이 출마를 만류했다. 기업(HDC)을 경영하는 측면에서 주위의 우려도 컸다. 그러나 이대로 멈출 수 없었다. 10년 뒤의 '후회'를 떠올리면서 명예회복을 결심했다. '다시, 축구가 함께하는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선거전에 뛰어들었다.
강도 높은 쇄신과 소통으로 KFA의 신뢰 회복, 한국 축구의 국제적 위상과 경쟁력 제고, 디비전 승강제 시스템 완성, 대한민국 축구종합센터의 완성과 자립화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축구종합센터의 성공적 완성을 위해선 50억원 기부도 약속했다. 날을 세운 허정무, 신문선 후보의 '네거티브' 선거 전략에 눈을 돌리지 않고 현장과의 소통을 통한 '조용한 유세'를 펼쳤다.
그러나 선거가 곡예비행을 했다. 두 차례 무산되는 진통을 겪었다. 당초 회장 선거는 지난달 8일 열릴 예정이었다. 하지만 법원이 선거를 하루 앞둔 7일 허정무 후보가 KFA를 낸 선거 금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면서 연기됐다. 선거일은 1월 23일로 재조정됐다. 그러나 허정무, 신문선 후보가 다시 반발하면서 선거운영위원들이 총 사퇴했고, 두 번째 선거도 물거품됐다.
새롭게 KFA 선거운영위가 꾸려졌지만 허정무, 신문선 후보는 정 회장의 '신분'을 문제삼았다. 문체부는 특정감사 후 정 회장에게 자격정지 이상의 중징계를 KFA에 요구했다. 결국 법원의 심판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KFA는 행정소송과 함께 집행정지 신청을 냈다. 다행히 법원이 KFA의 손을 들어줬다. 집행정지 신청의 인용을 결정했다.
첫 번째 선거운동 기간 '링거'까지 맞으며 170여명의 선거인단을 만나기 위해 전국을 돌아다닌 정 회장은 두 번째 기간에도 멈추지 않았다. 모든 것을 쏟아부었다. 비행기와 기차 등 대중교통을 이용한 것을 제외해도 1만5000km 이상을 이동하며 선거인단을 만났다. 일정이 안되는 축구인들에게는 일일이 통화해 90%의 선거인단과 직접 소통했다.
또 선거인단 개개인에게 각기 작성한 메시지를 담은 '개인맞춤형' 동영상을 보냈다. 선거가 중단됐던 지난달 16일부터는 SNS 활동도 시작했다. 결국 현장이 움직였다. 많은 축구인들이 응원의 메시지로 호응했다.
'대의'도 정 회장 편이었다. 축구종합센터는 축구계의 최대 현안이다. 정 회장이 아니면 안된다는 분위기가 형성됐다. 정 회장의 '마지막 도전'에 진심도 느껴졌다는 반응이 이어졌다.
정 회장은 이날 선거 직전 마지막 소견 발표에서 "선거가 연기되면서 축구 행정 공백에 따른 안타까운 심정도 있었지만, 현장에서 더 많은 축구인을 만나서 보람됐다. 선거인단은 192명이지만, 몇배가 넘는 축구인을 만나서 다양한 이야기를 들었다. 이 분 중 나를 응원하는 분도 있었고, 바꿔야할 부분을 조언한 분도 있었다. 현장과 소통이 부족했다는 반성을 하게됐다. 함께 이번 선거에 출마해 고생한 허 후보와 신 후보에게도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두 분의 주장을 들으면서 미처 챙기지 못한 부분을 돌아봤다"고 말했다.
그리고 "지난해 나에게 보여준 팬들과 축구인들의 질책을 잊지 않겠다. 현장과 더 소통하면서 축구인의 목소리를 듣기 위해 더 낮은 자세로 임하겠다. 결자해지의 굳은 각오로 한국 축구 미래를 위해 뛰겠다. 자긍심을 다시 살릴 수 있도록, 신뢰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1994년 현대자동차 구단주를 필두로 축구와 연을 맺은 지 30년이 흘렀다. 망한 대우 로얄즈를 인수해 부산 아이파크로 재탄생시켰고, 한국프로축구연맹 총재를 거쳐 KFA 회장에 올랐다.
그는 재임 기간 중 프로축구 승강제, 골든에이지 프로그램 출범, 디비전시스템 기반 구축 등의 성과를 이뤘다. 2015년 호주아시안컵 준우승, 2019년 U-20 월드컵 준우승, 아시안게임 3연패, 2022년 카타르월드컵 16강 등 굵직한 역사도 작성했다.
정 회장의 새로운 4년이 다시 열렸다.
김성원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
이전작성일 2025.02.26 16:02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