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팀정보

'한국 있었으면 큰일날 뻔' AFC의 근본 없는 '오피셜' 공식발표 떴다..."월드컵 4차 예선 경기는 카타르+사우디에서" 형평성은 어디로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한국 있었으면 큰일날 뻔' AFC의 근본 없는 '오피셜' 공식발표 떴다...






'한국 있었으면 큰일날 뻔' AFC의 근본 없는 '오피셜' 공식발표 떴다...




[스포티비뉴스=장하준 기자] 아무리 돈이 중요하다지만, 형평성이 완전히 사라졌다. 한국이 껴 있었으면 정말 아찔했던 상황이다.

아시아축구연맹(AFC)은 17일(한국시간) 국제축구연맹(FIFA)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4차 예선 조 추첨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 추첨은 총 6개 국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앞선 3차 예선 3개 조에서 각각 3,4위를 기록한 팀들이다.

조 추첨 결과, A조에는 카타르와 아랍에미리트, 오만이 편성됐으며, B조에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 인도네시아가 들어갔다. 각 조의 3팀은 오는 10월 조별리그 방식처럼 돌아가면서 한 차례씩 맞대결을 펼쳐 순위를 결정한다. 조 1위는 월드컵 본선으로 직행하며, 2위는 대륙 간 플레이오프(PO)에 진출해 사실상 5차 예선을 치러야 한다. 3위는 탈락이다.

그런데 4차 예선 일정을 놓고 AFC를 향한 비판이 쏟아진다. A조의 모든 경기는 카타르, B조의 모든 경기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진행된다. 이를 두고 의문이 불거진다. 각 조에 속한 두 팀이 홈 이점을 받게 되는 절대적으로 유리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월드컵 티켓을 두고 펼쳐지는 예선이기에, 이 같은 구조는 중립 규정에 어긋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홈 경기를 치르는 두 팀과 함께 예선을 치르는 인도네시아, 이라크, 오만, 아랍에미리트는 불만이 가득할 수밖에 없다.



'한국 있었으면 큰일날 뻔' AFC의 근본 없는 '오피셜' 공식발표 떴다...




이러한 구조가 설정된 이유로는 카타르와 사우디아라비아의 스폰서로 추정되고 있다. 막강한 오일 머니로 무장한 두 국가의 여러 기업은 현재 AFC를 후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AFC가 돈 때문에 중립 규정을 어기고 4차 예선을 카타르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진행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이미 AFC는 지난 시즌 아시아챔피언스리그엘리트(ACLE) 진행 방식과 관련해 비슷한 논란이 불거졌던 바 있다. ACLE는 8강부터 토너먼트 단판 승부 방식을 도입했는데, 8강 모든 경기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진행됐다. 사우디아라비아 리그가 아닌 팀은 불리함을 안고 들어갈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당시 AFC는 개최지 신청을 받았고, 신청을 한 국가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라크였다. 그리고 자금력을 앞세운 사우디아라비아가 토너먼트 개최지로 선정됐다.

형평성에 완벽히 어긋난 구조였다. 그저 돈만 있으면 국제 클럽대항전을 홈 경기로 만들어버릴 수 있게 됐다. 유럽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UCL)의 새로운 대회 진행 방식을 모방한 AFC였지만, UCL과 달리 토너먼트 개최국 신청을 받으며 돈에 의해 움직이기 시작했다. 참고로 UCL은 16강부터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한 뒤, 중립 구장에서 단판 결승을 치른다. 이러한 비교만 봐도, AFC는 그저 돈에 휘둘리는 조직이 되고 말았다.

결국 지난 시즌 ACLE 우승은 사우디아라비아 홈 팬들의 응원을 등에 업은 알아흘리가 차지했다. 그리고 이번에는 카타르와 사우디아라비아가 홈 이점을 살려 월드컵 본선 진출에 도전한다. 이제는 돈이 없다면 성적을 내기 힘들어진 아시아 축구계다. 3차 예선에서 위기를 맞이했던 한국이 4차 예선에 진출했다면, 여러모로 불리한 상황이 만들어졌을 것이다.



'한국 있었으면 큰일날 뻔' AFC의 근본 없는 '오피셜' 공식발표 떴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