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터뷰] "린가드는 잔디가 밀려 발목을 접질렀다" 김기동·정정용 입 모아 잔디 문제 성토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5 조회
- 목록
본문
[풋볼리스트=서울] 김희준 기자= 양 팀 감독 모두 이번 경기 잔디 상태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3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하나은행 K리그1 2025 3라운드를 치른 FC서울과 김천상무가 0-0 무승부를 거뒀다. 양 팀은 리그 첫 3경기에서 1승 1무 1패로 승점 4점을 벌어들였다.
이날 서울은 이승모를 최전방에 세우고 조영욱을 오른쪽 윙어로, 정승원을 중앙 미드필더로 보내는 등 많은 포지션 변화를 가져갔다. 최전방부터 너른 활동량을 가져가 김천을 압박하고, 조영욱을 활용해 측면 공격을 전개하려는 의도였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다. 후반 문선민과 루카스를 통해 활력을 불어넣긴 했지만 마찬가지로 마무리에서 아쉬움을 드러내며 무득점에 그쳤다.
김천 역시 측면에 이동준을 세워 빠른 역습을 도모했으나 제대로 공격이 이뤄진 경우는 거의 없었다. 전반에는 짧은 패스를 통한 후방 빌드업도 시도했는데 후반 들어서는 그보다 직선적인 공격 형태로 변화를 가져갔다. 김천 역시 유효슈팅이 나오지 않는 빈공 속에 승점 1점에 만족해야 했다.
정정용 김천 감독은 경기 후 잔디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했다. 경기 후 기자회견에서 "생각했던 부분들이 있는데 경기장 환경 때문에 변칙적으로갈 수밖에 없었다. 아쉽다"라며 "우리 팀이 원하는 게임 모델 중 한 가지는 후방 빌드업인데, 이런 잔디에서는 실수가 나올 수밖에 없다"라며 전략적으로 수정이 필연적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축구 발전을 위해서도 그렇고, 다이내믹하게 공을 전개하고 빠른 템포로 가져가고 싶은데 양 팀 다 쉽지 않았다"라며 잔디 상태가 좋지 않아 제대로 된 경기가 나오지 않았다고 아쉬워했다.
김기동 서울 감독도 마찬가지였다. 경기 후 기자회견에서 "잔디 문제는 1라운드부터 나온 문제다. 상암뿐 아니라 리그가 일찍 시작하면서 날씨가 추워 모든 경기장이 얼어 부상 위협이 계속 벌어지고 있다. 잔디가 안 좋은 상태에서 경기를 하다 보니 훼손도 빠르다"라며 서울뿐 아니라 전북현대 역시 잔디 문제로 아시아축구연맹 챔피언스리그 TWO 경기를 전주가 아닌 용인에서 치르게 된 점을 지적했다.
이어 "잔디가 뿌리내리지 않은 상황에서 뛰다 보니 잔디가 더 빨리 파인다. 린가드는 잔디가 밀려 발목을 접질렀다. 위에 계신 분들이 리그 일정에 대해 고민을 해야 하지 않나 싶다. 이미 개막한 만큼 부상 방지를 위한 잔디 대책이 빨리 나오기를 바란다"라며 "1월에 해도, 2월에 해도 상관은 없다. 다만 제반 시설이 명확하게 갖춰져야 한다. 유럽처럼 경기장 밑에 스팀이 깔려 잔디가 살아나면 겨울에 해도 상관은 없다"라며 중요한 건 잔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거라 강조했다.
사진= 풋볼리스트, 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