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백호 FA 계약이 노시환에게 미치는 영향…100억원+α라면 한화는 그 이상 준비해야 하나, 2027 최대어 예약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5 조회
- 목록
본문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강백호(26, KT 위즈)의 FA 계약, 1년 뒤 FA 최대어 노시환(25, 한화 이글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을야구와 별개로 한국시리즈 종료 이후 열리는 2025-2026 FA 시장에 대한 관심도가 벌써부터 대단하다. 최대어는 일찌감치 강백호와 박찬호(30, KIA 타이거즈)로 좁혀졌다. 물밑에서 두 사람에 대한 관심이 매우 뜨겁다.

박찬호의 경우 최근 2~3년간 공수주에서 절정의 폼을 보여줬고, 유격수 포지션에 대한 프리미엄이 붙은 케이스다. 반면 강백호는 전통적으로 FA 시장에서 우대 받은 중심타자, 클러치히터라는 점에서 일찌감치 100억원대 계약 후보로 꼽혔다. 여전히 26세이며, 군 복무도 해결했다. 올 겨울 4년 계약을 체결해도 마지막 시즌이 30세다.
단, 강백호는 지난 3~4년간으로 범위를 넓히면 2024시즌 정도를 제외하면 부진했다. 데뷔 후 30홈런 100타점을 동시에 해본 적도 사실 없다. 게다가 확실한 자기 포지션이 없다. 이런 점들 때문에 의외로 몸값이 높아지지 않을 것이란 시선도 있다. 결국 원 소속팀 KT 위즈의 베팅 규모가 중요할 듯하다.
이렇듯 강백호의 FA 계약에는 변수가 상당히 많다. 그리고 이런 상황을 노시환의 소속사가 조용히 관망한다고 봐야 한다. 2026-2027 FA 시장은 다가올 FA 시장보다 좋은 매물이 더 많다는 평가다. 홍창기(LG 트윈스), 최지훈(SSG 랜더스), 원태인과 구자욱(이상 삼성 라이온즈)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노시환이 이들과 함께 주요 멤버로 꼽힌다. 한 관계자는 내년 26세의 나이, 30홈런이 가능한 홈런왕 출신의 클러치히터, 공수겸장에 올해 144경기 모두 출전했다는 장점을 더해 2026-2027 FA 최대어라고 못 박았다.
노시환은 올해 144경기에 모두 나가 타율 0.260 32홈런 101타점 97득점 14도루 OPS 0.851 득점권타율 0.290을 기록했다. 강백호가 하지 못한 30홈런 100타점을 2023년과 올해 두 차례나 해냈다. 게다가 김경문 감독도 인정한, 리그 탑클래스 3루 수비력을 자랑한다.
물론 내년 성적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올 겨울 강백호보다 1년 뒤 노시환이 더 받으면 받았지, 못 받을 이유는 1도 없어 보인다. 노시환 역시 항저우아시안게임 금메달로 병역까지 해결한 상태다. 내년에 엄청나게 부진하지 않는 한 2026-2027 FA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강백호의 계약규모를 기준점으로 삼을 수 있을 듯하다.
한화는 최근 FA 시장에서 큰 손이었다. 그러나 올 겨울은 올 시즌 최종성적과 무관하게 의외로 잠잠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결국 노시환이 배경에 깔린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한화로선 올 겨울, 늦어도 2026시즌 도중 키움 히어로즈가 송성문을 6년 120억원에 비FA 다년계약으로 묶은 것처럼 노시환에게 그 수준, 혹은 그 이상으로 비FA 다년계약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고 봐야 한다. 물론 칼자루는 노시환이 쥘 것이다.
송성문에 이어 올 겨울 강백호의 계약까지 나오면 자연스럽게 1년 뒤 노시환까지 소환될 전망이다. 강백호와 노시환을 제외하면, 정말 시장에 언제 20대 중반의 중심타자이자 클러치히터가 다시 풀릴지 기약조차 할 수 없다. 김도영(22, KIA 타이거즈)의 경우 올해 풀타임을 하지 못하면서 FA 자격취득이 더 미뤄졌다.

모든 상황은 노시환에게 유리하게 흘러갈 것이다. 그동안 땀 흘려 얻은 대가를 올 겨울, 늦어도 1년 뒤에는 누릴 가능성이 크다. 그에 앞서 17일부터 시작되는 삼성 라이온즈와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노시환의 가치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