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팀정보

이제 삼성 억울할 일은 없네… 이 장비에 하나에 팬들 대환호, 미국식 ABS 도입도 가능하다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이제 삼성 억울할 일은 없네… 이 장비에 하나에 팬들 대환호, 미국식 ABS 도입도 가능하다




[스포티비뉴스=김태우 기자] 미국에서 시작된 야구의 ‘구속 혁명’이 일본을 거쳐 KBO리그에도 상륙한 가운데, 삼성 선수들은 지난 몇 년간 꾸준하게 억울함(?)을 호소했다.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유독 구속이 낮게 찍혔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팬들은 언론이나 기타 플랫폼에서 공개되는 구속을 보게 되어 있는데 삼성 선수들은 자신들의 구속이 과소평가된다고 볼멘소리를 냈다. 팀의 핵심 투수인 원태인은 SNS에 직접 답답함을 호소하기도 할 정도였다.

이유가 있기는 했다. 기존에 리그에서 널리 쓰였던 구속 플랫폼은 경기장에 카메라를 몇 대 설치해 각각의 카메라에 잡힌 공 궤적을 삼각 측량해 구속을 측정했다. 비합리적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아무래도 경기장 규격과 사정이 다르고, 설치 지점도 완벽하게 동일할 수 없으니 구장마다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라이온즈파크는 야구 관계자들 사이에서 가장 손해를 많이 보는 경기장 중 하나로 뽑혔다. 실제 다른 구속 측정 플랫폼과 비교해 봐도 대구가 가장 큰 차이가 났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이렇게 억울할 일은 없다. 동등한 위치에서 평가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KBO는 시즌 개막을 앞둔 지난 3월 7일 “2025 시즌부터 리그 공식 구속 측정 장비로 트랙맨(TrackMan)사의 투구 추적 시스템인 트랙맨을 도입한다”면서 “KBO는 이를 기반으로 KBO리그 경기 중계 방송 및 각 구장의 전광판에 표출되는 투구 구속을 일원화할 계획”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기존 플랫폼이 카메라의 삼각 측량 방식인 반면, 트랙맨은 장비의 레이더가 공을 실시간으로 추적한다. 시초가 군사적 목적이었던 만큼 정확도가 높다. 실제 2015년 메이저리그가 스탯캐스트 시대를 열 당시 도입한 플랫폼이 바로 트랙맨이었다. 정확한 구속과 타구 속도, 그리고 발사각을 측정할 수 있음에 따라 메이저리그 데이터 야구의 새 전기가 열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금은 초고속 카메라 기반의 ‘호크아이’ 시대로 넘어갔지만, 적어도 구속과 타구 속도 측정은 레이더 방식의 트랙맨이 더 정확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4년 서울 시리즈, 2025년 도쿄 시리즈 때도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복잡하게 호크아이 장비를 들고 오는 것보다는 경기장에 설치된 트랙맨 장비를 그대로 썼다. 메이저리그에서도 여전히 신뢰하는 장비라는 것이다. 비용 문제상 호크아이를 사용하기 어려운 마이너리그나 대학야구에도 여전히 트랙맨을 쓰는 등 널리 활용되고 있다.

기존 PTS 방식의 구속보다 트랙맨의 구속이 대체로 더 높게 나온다. 메이저리그에서도 썼던 트랙맨 장비의 신뢰성을 고려할 때, 기존까지는 KBO리그 투수들의 구속이 과소평가됐다는 지적은 일리가 있다. 실제 리그와 국제 대회에서의 구속에 차이가 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제 삼성 억울할 일은 없네… 이 장비에 하나에 팬들 대환호, 미국식 ABS 도입도 가능하다




이에 팬들이 트랙맨 혹은 다른 최신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대대적으로 촉구했다. KBO가 이런 팬들의 여론에 응답한 셈이 됐다. 시즌 개막 직후 현재 분위기는 대단히 호의적이다. KBO리그에서도 시속 150㎞를 넘기는 투수들이 많다는 게 객관적으로 증명됐고, 이것이 리그의 발전에도 자신감을 붙일 수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나온다.

트랙맨은 KBO리그 구단들에게 익숙한 플랫폼이라 거부감도 없다. 몇몇 구단을 시작으로 지금은 KIA를 제외한 나머지 9개 구단에서 활용하고 있다. 호크아이처럼 방대한 영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직관적이고 데이터 신뢰성이 높아 많은 구단들이 선호한다. 여기에 9개 구단 홈경기에서 수집되는 정보의 양이 대단히 방대하다. 상대 전력 분석에도 용이하다. 1군은 물론 2군도 트랙맨 장비를 쓰기 때문에 1·2군간 선수 비교 또한 직관적이다.

1군에서는 호크아이를 쓰는 KIA도 올해부터 2군은 트랙맨과 계약해 이 장비를 활용하고 있다. 구속 측정을 위해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에도 트랙맨 장비 설치를 완료했다. 다른 용도로는 활용이 불가능하지만 구속은 10개 구단, 9개 구장이 동일한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자동 볼 판정 시스템(ABS) 시대에도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KBO는 올해 ABS 운영을 이원화했다. 1군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PTS 기반이 쓰이지만, 퓨처스리그(2군)는 트랙맨과 계약했다. 이미 기존 계약에 따라 2군 구장에 장비를 설치하고 있었던 트랙맨은 함평과 문경에도 장비를 새로 설치했다. 올해 2군에서 운영을 해보고, 더 나은 시스템이 앞으로 주도권을 잡을 수도 있다. 나름 경쟁 구도가 만들어진 셈이다.



이제 삼성 억울할 일은 없네… 이 장비에 하나에 팬들 대환호, 미국식 ABS 도입도 가능하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KBSA)도 트랙맨과 손을 잡았다. 이에 따라 올해 고교야구에도 트랙맨 기반의 ABS 시스템이 쓰인다. 현재 목동구장에는 이미 설치가 되어 있고, 신월야구장에도 설치 예정이다. 설정에 따라 고교야구와 KBO리그 사이의 스트라이크존을 동일하게 만들 수 있는데 이는 프로 진출 후 선수들의 적응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호크아이라는 새로운 플랫폼이 등장했지만 트랙맨도 계속 업데이트를 이어 가고 있다. 퓨처스리그와 고교야구 ABS 시스템에는 트랙맨의 첨단 기술이 들어간다. 트랙맨 관계자는 “트랙맨도 소프트웨어에 따라 버전이 있는데 현재 9개 구단에는 최신 버전인 ‘V3’를 제공하고 있다. 레이더 크기가 컴팩트 해지고, 전체적인 소프트웨어가 업그레이드됐으며 카메라도 내장되어 카메라 방식이 가지는 이점도 활용할 수 있다”면서 “현재 트랙맨도 엄프(엄파이어) 어시스턴트 버전을 도입한 상태다. 부르는 명칭은 다르지만 미국의 ABS 시스템이다. 이번에 한국에서도 이 버전을 활용한다”고 설명했다. 미국식 ABS가 올해 퓨처스리그와 고교야구에 적용되는 셈인데, 더 정확한 판정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