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흥민 결승골' 토트넘, 세비야 꺾고 유로파리그 우승...16강 탈락 위기인데 이게 가능하다고?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20 조회
- 목록
본문
[STN뉴스] 반진혁 기자 = 토트넘 홋스퍼가 우승이 가능한다고?
축구 콘텐츠 제작소 'score90'은 8일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챗GPT'를 통해 2024/25시즌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UEL) 우승을 전망했다.
토트넘이 가장 눈에 띄었다. 알크마르를 꺾고 8강에 진출해 프랑크푸르트, 라치오를 누르고 결승에 진출한다고 전망했다.
토트넘의 결승 상대는 아틀레틱 빌바오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토트넘인 빌바오와의 경기에서 데얀 쿨쿠셉스키의 선제골과 후반 추가 시간 손흥민이 터트린 득점에 힘입어 2-1로 꺾고 UEL 우승을 차지한다고 예상했다.
토트넘은 16강 1차전에서 알크마르에 덜미를 잡히면서 UEL 탈락 위기다. 챗GPT의 예상이라면 이를 극복한다는 것이다.
토트넘은 지난 7일 알크마르와의 2024/25시즌 UEL 16강 1차전에서 0-1로 패배했다.
토트넘은 졸전을 펼쳤다. 루카스 베리발의 자책골로 실점을 헌납했고 이렇다 할 공격 찬스를 잡지 못했다. 유효 슈팅 없이 패배하면서 고개를 숙였다.
손흥민은 선발 출격했다. 그라운드를 72분 누비면서 패스 성공률 81%, 슈팅 3회 등의 기록을 남겼다.
영국 매체 '풋볼 런던'은 "손흥민은 전혀 임팩트를 주지 못했다"며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손흥민은 경기 후 "모든 선수들이 매우 실망스러운 경기를 했다. 변명의 여지가 없다. 만회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결과를 되돌릴 준비를 해야 한다"고 자책했다.
토트넘 패배와 함께 손흥민이 이렇다 할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한 상황에서 비판이 쏟아졌다.
토트넘 출신 제이미 오하라는 "손흥민은 최전방에 위치했다. 하지만, 경기에서 존재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토트넘은 볼 점유 자체가 엉성했다. 더 많은 걸 기대했지만, 그러지 못했다. 수들이 수비 뒷공간으로 달려야 하는데 그런 일은 없었다"고 꼬집었다.
오하라는 꾸준하게 손흥민을 향해 비판하는 인물이다.
오하라는 최근 "손흥민의 리더십 부족이 감독과 본인에게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더 이상 토트넘에 적합한 주장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손흥민은 환상적인 선수다. 토트넘에게 믿을 수 없는 순간을 많이 만들어 줬다. 하지만, 지금 같이 팀을 하나로 모아야 하는 시기에 나서면 안 된다. 주장은 이끌 수 있어야 하지만, 그렇지 않다. 이제 다른 선수에게 넘길 타이밍이다"고 꼬집었다.
이후 오하라는 "대한민국 팬들로부터 질타를 받고 있다. 손흥민은 리더가 아니며 대체 선수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SNS를 통해 24시간 내내 비난을 받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손흥민은 세계 최고 수준이었지만, 이제는 아니다. 속도를 잃었다. 아무것도 해내지 못한다. 때때로 나이가 들면 다른 곳을 찾아야 할 때가 있다. 더 이상 토트넘의 주장이 되어선 안 된다"며 의견을 굽히지 않았다.
손흥민이 커리어가 황혼기로 접어들면서 퍼포먼스가 이전보다 약해졌다는 평가도 있다.
영국 매체 '기브미스포츠'는 "토트넘이 손흥민의 매각을 놓고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처분을 결정한다면 가장 거대한 결정이 될 것이다"고 전했다.
이어 "손흥민, 히샬리송, 티모 베르너 등의 주급은 8억에 달한다. 처분한다면 엄청난 돈을 아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토트넘은 이제 새로운 시대로 접어든다. 공격 개편을 위해 중대한 결단을 내려야 할 것이다. 손흥민도 예외는 아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반드시 처분이 필요한 선수는 아니지만, 제안이 있다면 받아들여야 할 선수가 있다. 첫 번째는 손흥민이다. 수년간 토트넘의 아이콘이었고 의심의 여지 없이 역대 최고의 EPL 선수 중 한 명이다. 하지만, 둔화가 시작했고 퍼포먼스가 과거보다 눈에 띄게 떨어졌다. 상황이 더 나빠지기 전에 처분해 현금을 챙길 때가 됐을 지도 모른다"고 언급했다.
STN뉴스=반진혁 기자
▶STN 뉴스 공식 모바일 구독
▶STN 뉴스 공식 유튜브 구독
▶STN 뉴스 공식 네이버 구독
▶STN 뉴스 공식 카카오톡 구독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