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견제구 13개, 솔직히 과하다” 감독대행 작심발언 폭발→왜 염갈량 감독실 찾아갔나, '견제구 논란' 빠르게 오해 풀다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 조회
- 목록
본문
[OSEN=잠실, 이후광 기자] 조성환 감독대행은 왜 조수행을 향한 LG 트윈스의 집중 견제에 뿔이 났을까. 그리고 왜 작심발언 직후 적장의 감독실을 직접 찾아간 것일까.
잠실 라이벌의 견제구 논란은 지난 26일 서울 잠실구장에서 열린 2025 신한 SOL뱅크 KBO리그 두산 베어스와 LG 트윈스의 시즌 10번째 맞대결에서 불거졌다.
두산이 3-4로 근소하게 뒤진 8회말 공격이었다. 선두타자 김인태가 LG 김진성 상대 볼넷을 골라낸 뒤 대주자 조수행이 1루에 투입됐다.
조수행은 지난해 도루왕(64개)을 차지한 프로야구의 대표 대도. 올해도 적은 출전 기회 속에서 도루 17개를 기록 중인 터라 LG 배터리가 경계를 하지 않을 수 없었고, 김진성은 후속 양석환, 이유찬 두 타자에 걸쳐 조수행을 향해 무려 견제구 13개를 던졌다. 조수행은 잦은 1루 귀루로 만신창이가 된 상황에서 이유찬 타석 때 2루 도루에 성공했는데 조성환 대행은 이를 고운 시선으로 바라보지 않았다.
27일 LG전에 앞서 만난 조성환 감독대행은 해당 상황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난 안 좋게 봤다”라고 운을 떼며 “그렇게 견제구를 많이 던져도 되나 싶다. 그래서 사실 중간에 한 번 (그라운드로) 나가려고 했다. 물론 바뀔 건 없겠지만, 흐름을 끊고 싶었다. 그런데 경기 중 일어나는 플레이라 어필을 할 명분이 없었다”라고 털어놨다.
사령탑은 강도 높은 작심발언을 이어갔다. 조 대행은 “오해일 수 있지만, LG가 한 베이스를 막고자 견제한 건지 솔직히 의문이다. 과하지 않았나 싶다. 물론 그 한 베이스는 우리에게 굉장히 소중했고, 상대도 그걸 막고자 그만큼 노력했을 것이다. 그래도 난 과하다고 생각했다”라며 “당하는 입장에서 솔직히 기분이 좋진 않다. 오히려 이런 흐름을 끊어주지 못해 조수행에게 미안했고, 거기서 도루를 성공해준 거에 대해 큰 칭찬을 하고 싶다. 상대를 자극하는 건 아니지만, 유쾌하진 않다”라고 불편한 기색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곧이어 LG 염경엽 감독이 인터뷰실에 들어와 견제구 12개에 대한 뒷이야기를 전했다. 염 감독은 “충분히 이해는 한다. 우리는 1점이 중요했다. 주자를 2루로 안 보내는 게 우리 첫 번째 목적이었다. 조수행이 나오면 다른 주자보다 도루 확률이 훨씬 높기 때문에 박경완 배터리코치가 어떻게든 묶어야 했다. 묶었기 때문에 죽을 수 있는 상황이었는데 공이 빠져서 위기가 왔다. 그래서 우리는 투수를 바꿨다”라고 설명했다.
지난 2023년 LG 지휘봉을 잡은 염 감독은 3년째 ‘뛰는 야구’를 기조로 삼고 사실상 모든 선수가 누상에서 도루가 가능하도록 팀을 지휘해왔다. 염 감독은 “난 3년 동안 너무 많이 겪은 거다. 두산이 잘한 거라고 생각한다. 우리한테 압박감을 준 게 아닌가. 그래서 우리가 견제구를 13개나 던졌다”라며 “광주에서 박해민도 견제구를 많이 받았다. 해민이가 뛰려고 했지만 견제가 계속 오니까 2루로 못 갔다. 그래서 결국 병살이 나왔다. 1점이 중요한 승부처에서는 어쩔 수 없다. 물론 상대가 짜증나는 건 분명히 있다. 내가 당해도 짜증이 난다. 그런데 내가 상대에 압박을 주는 거니까 좋게 생각한다. 그래야 투수 실투가 나올 확률이 높다. 누수가 주자한테 50%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게 아닌가. 진성이도 1루주자에 집중한 거다. 난 충분히 많이 당해본 거라 이해는 된다”라고 예시를 곁들여 부연 설명했다.
염 감독은 계속해서 “어쨌든 도루를 성공하지 않았나. 두산이 좋은 대주자를 내보낸 거다. 압박을 뚫고 도루 성공했을 때 쾌감이 있다. (감독대행이) 그렇게 받아들이면 좋을 거 같다”라며 “물론 이기고 있으면 괜찮은데 지고 있으면 짜증이 난다. 난 그런 상황을 너무 많이 겪는다. 우리가 뛰는 야구를 하니까 어느 팀 보다 견제를 많이 받는다. 박해민 신민재 최원영이 초구에 뛰지 않는 이상 기본적으로 견제구 7~8개는 그냥 온다. 조성환 감독이 나쁘게 안 받아들였으면 좋겠다. 우리가 상대를 압박한다고 생각하면 스트레스가 할 것이다. 감독 선배로서 이야기하는 거다. 감독 생활할 때 도움이 될 것이다. 견제를 많이 한 팀도 잘한 거고 그걸 뚫고 도루에 성공한 팀도 잘한 거다”라는 덕담을 남겼다.
그렇다면 KBO리그도 메이저리그처럼 견제구 제한 제도를 신설해야 할까. 염 감독은 “내년에 3개로 줄였으면 좋겠다. 우리팀은 3년 동안 많이 받지 않았나. 올해는 선수들 몸도 안 좋고 뛰는 게 득보다 실이 많은 거 같아서 자제시키고 있지만, 뛰는 야구는 이제 나만 하는 게 아니라 전체적으로 다 하고 있다. 스피드업을 위해 메이저리그는 3번째 견제구에 패널티를 부여하지만, 우리는 3개 정도 하고 4번째에 위반을 만들어놓으면 시간이 단축될 거 같다. 향후 골든글러브 시상식 감독자 회의에서 이야기가 나올 거 같다”라고 바라봤다.
두산 관계자에 따르면 조 대행은 사전 인터뷰를 마친 뒤 3루에 위치한 염 감독의 감독실을 직접 찾아 견제구 논란과 관련한 오해를 모두 풀었다. 두 팀은 어제의 논란을 잊고 새로운 마음으로 오늘 경기에 임했고, 치열한 명승부를 펼친 끝에 두산의 9-6 승리로 27일 경기가 마무리됐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