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완 안우진, 오른쪽 팔꿈치에 이어 어깨까지···황당한 ‘벌칙 펑고’ 부상으로 비상사태 된 키움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8 조회
- 목록
본문
KBO리그를 대표하는 우완 투수 안우진(25)이 야수 수비 훈련을 하다가 오른쪽 어깨를 다쳤다. 2년 전 수술한 팔꿈치와 같은 쪽 어깨다. 키움의 시즌 구상부터 국가대표 야구팀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대형 악재다.
키움 관계자는 5일 “안우진이 지난 2일 훈련 도중 오른쪽 어깨를 다쳤다”라고 알렸다. 안우진은 부상 당일 1차 검진을 받았지만 구단 측은 안우진의 부상 정도에 대해 구체적으로는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필요하다면 추가 검진을 받을 수 있다”는 말을 덧붙였다.
안우진은 사회복무요원으로 군 복무 중이다. 다음 달 17일 소집해제를 앞둔 그는 경기도 고양의 키움 2군 훈련장에서 선수단과 함께 훈련해 왔다. 설종진 키움 감독 대행은 안우진을 9월 소집해제 이후 1군 선수단에 불러들여 실전 감각을 확인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안우진은 지난 2일 열린 2군 자체 청백전에 등판해 1이닝을 던졌다. 최고 구속은 시속 157㎞이 찍혔다. 투구 과정, 그 뒤 보강 훈련을 하는 과정까지는 문제가 없었다. 4이닝 동안 진행된 경기 끝에 안우진이 속한 팀이 졌다.
일은 청백전이 모두 끝난 뒤에 터졌다. 2군 코치진은 청백전에서 진 팀에게 벌칙으로 펑고 훈련을 지시했다. 펑고는 연습타구를 잡아내는 수비 훈련을 일컫는다. 야수들의 훈련이라 투수가 참가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이날 안우진도 펑고를 받았다.
키움 관계자는 “선수들에게 진지하게 훈련에 임해달라는 취지로 실시한 추가 훈련이었다”라고 설명했다. 안우진은 처음에는 이 수비 훈련까지 하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해 거부했으나 코치진의 설득으로 함께 했다.
안우진은 2023년 9월 오른쪽 팔꿈치 인대 접합 수술(토미 존 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 2년 가까이 지났지만 여전히 조심스럽다. 재활이 잘못되면 재수술이 필요한 때도 있다. 관리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에 불필요한 훈련을 하다 오른쪽으로 넘어졌다. 안우진은 팔꿈치의 수술 부위를 피하려다 어깨를 땅에 찧었고 결국 부상이 생겼다.
군 복무 기간 막바지에 모아놨던 휴가를 쓰면서 일찍 선수단에 합류해 복귀를 준비하는 선수들이 종종 있다. 그러나 소속 팀으로 완전 복귀한 신분이 아니라 이 경우는 함께 하더라도 보통 개인 훈련을 한다. 아직 사회복무요원인 안우진을 청백전에 등판시킨 키움은 불필요한 추가 훈련까지 시키다 부상을 유발하면서 선수 관리 시스템의 문제를 그대로 노출했다.
키움은 안우진이 고정 선발진에 합류하는 2026년만을 기다리며 리빌딩을 이어 왔다. 최근 비FA 다년계약을 맺은 송성문과 함께 투타 중심을 형성하면 가을야구 경쟁에 뛰어들 수도 있다는 키움의 원대한 포부는 황당부상으로 큰 차질을 빚을 위기에 놓였다.
안우진의 부상은 한국 야구대표팀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안우진은 2022년 키움에서 15승 8패 평균자책 2.11을 기록하며 KBO리그를 대표하는 투수로 떠올랐다. 그러나 고교 시절 학교 폭력 논란에 발목잡혀 국가대표로는 선발되지 못했다.
한국 야구대표팀은 2023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 이어 지난해 프리미어12에서도 선발진이 무너지며 조기 탈락했다. 선발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안우진이 또 한 번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류지현 야구대표팀 감독도 ‘안우진의 영상을 지켜보고 있다’라고 이야기했었다. 안우진이 이번 부상으로 복귀하지 못하고 시즌이 끝난다면 국가대표로 선발할 명분도 사라진다.
이두리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