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시절부터 달고 산 부상…마이너 전전하던 심준석, 미국행 3년만에 방출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4 조회
- 목록
본문
시속 150㎞ 후반대 강속구로 국내 고교 야구 무대를 평정하고 메이저리그(MLB)에 도전했던 심준석(21·사진)이 미국행 3년 만에 마이너리그에서 방출됐다.
마이애미 구단은 5일 산하 루키 레벨 마이너리그 팀인 FCL 말린스에서 뛰던 심준석을 방출한다고 발표했다.
덕수고 출신인 심준석은 2023 KBO리그 신인드래프트를 앞두고 KBO 대신 미국 무대 도전을 택했다. 피츠버그와 계약금 75만 달러에 합의했다.
구단 안팎의 기대는 대단히 컸다. 구단은 심준석을 위해 입단 회견과 기념식을 열었다. 심준석은 “갈 길이 멀지만 대단히 흥분된다. 꿈을 이루기 위해 여기에 왔다. 하루 빨리 공을 던지고 싶다”고 각오를 밝혔다. 당시 피츠버그 스카우트 관계자는 “2년 동안 심준석이 등판한 모든 경기를 지켜봤다. 재능 뿐 아니라 침착함까지 갖췄다”고 칭찬했다. 지역 매체는 심준석이 롤 모델로 꼽은 MLB 최고 우완 투수 게릿 콜과 그를 비교하며 “둘 다 건장한 체격에 강한 스터프를 갖췄다. 심준석이 콜을 롤 모델로 삼는 것도 이상하지 않다”고 전했다.
그러나 잦은 부상이 심준석의 발목을 잡았다. 심준석은 고교 시절인 2021년 팔꿈치, 2022년 발가락을 다쳤다. 입단 회견 당시에도 부상 관련 질문이 나왔다. 심준석은 “괜찮다”고 했지만, 미국에서도 부상이 끊이지 않았다. 미국에서 첫 시즌부터 대흉근 부상으로 시즌을 조기 마감했다. 허리와 어깨 부상도 이어졌다. 피츠버그는 결국 지난해 7월 심준석을 마이애미에 트레이드로 내보냈다.
심준석은 지난 시즌 부상으로 1경기도 출장하지 못했다. 올해 복귀했지만 제구 불안이 이어졌다. 루키 레벨에서 13경기 등판해 평균자책 10.80을 기록했다. 13.1이닝 동안 볼넷 26개에 몸에 맞는 공 8개를 허용했다. 사사구가 워낙 많아 이닝당 출루허용률(WHIP)은 2.40을 기록했다. 시속 160㎞에 육박하던 직구 구속도 잦은 부상 이후 150㎞ 전후로까지 떨어졌다.
심진용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