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팀정보

[단독] 아무리 명예직이지만 10만 원은 좀…KFA, 15년만의 국가대표 수당 인상 나선다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단독] 아무리 명예직이지만 10만 원은 좀…KFA, 15년만의 국가대표 수당 인상 나선다






[단독] 아무리 명예직이지만 10만 원은 좀…KFA, 15년만의 국가대표 수당 인상 나선다




태극전사들은 국제대회나 평가전 등을 위해 소집훈련을 하는 동안 KFA의 축구국가대표팀 운영규정(제19조)에 따른 수당 및 실비를 지급받는데 그 액수는 크지 않다. 소집될 때마다 하루 10만 원의 수당이 전부다. 철저히 소집일과 실제 훈련일수만 따져 지급한다.

주장 손흥민(토트넘)과 이재성(마인츠), 이강인(파리 생제르맹), 김민재(바이에른 뮌헨) 등 소속 팀에서 막대한 연봉을 받고 있는 슈퍼스타들이나 학교 및 아마추어 선수들이나 대표팀 유니폼을 입으면 수당은 동일하다.

그런데 10만원은 놀랍게도 2010년 1월 이후 바뀌지 않고 있던 금액이다. 2002한·일월드컵부터 2009년까지 하루 6만 원이던 훈련수당을 4만 원 인상한 뒤 15년 동안 유지했다. 국가대표가 명예직이긴 하나 어느 정도는 현실화할 필요가 있었다. 8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해도 올해 최저시급(1만 30원)이 살짝 넘는 수준은 너무하다는 지적이 축구계 안팎으로 많았다.

이라크(원정)~쿠웨이트(홈)와 2026북중미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9, 10차전을 위해 소집됐을 때에도 대표팀 내에서 다시 이야기가 나왔다. 이 자리에서 대표팀 구성원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퍼블리시티권(초상권)과 개인 트레이너 고용 등 의무팀 이슈 등 여러 내용을 논의했는데 수당 문제도 포함됐다.

홍명보 감독도 선수들의 권익 신장에 적극적이다. 지난해 7월 대표팀 지휘봉을 다시 잡았을 때부터 내부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여겼다. 부임하자마자 쉴 틈 없이 아시아 최종예선을 소화하느라 잠시 미뤄둔 사안들을 여유를 갖고 조금씩 개선하려 한다.

“현재 대표팀에 변화가 필요한 몇 가지가 있다. 행정적 측면에서도 운영 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홍 감독의 의견이다. 수당의 경우, 선수들은 액수 자체보다는 최소한의 성의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물론 남자대표팀의 수당 인상과 함께 5만 원에 불과한 여자대표팀 수당 역시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

남장현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