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베라토 계속 잘하면 플로리얼은 어떻게? '팬투표 1위' 올스타엔 뽑혔는데…'클락·맥키넌' 따라 가면 어쩌나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6 조회
- 목록
본문
[SPORTALKOREA] 한휘 기자= 첫 경기부터 큰 임팩트를 남긴 루이스 리베라토의 활약이 한화 이글스 외국인 타자 운용에 변수가 될까.
리베라토는 22일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에서 열린 2025 신한 SOL뱅크 KBO리그 키움 히어로즈와의 홈 경기에 2번 타자-중견수로 선발 출전해 5타수 3안타 1타점 1득점으로 맹활약했다.
첫 타석에서 뜬공으로 물러난 리베라토는 2회 말 라울 알칸타라를 상대로 KBO리그 데뷔 첫 안타를 쳐냈다. 4회에도 안타를 추가한 뒤 노시환의 적시타 때 득점까지 올렸다. 5회에는 중전 1타점 2루타로 타점까지 생산하며 알찬 활약을 펼쳤다. 한화도 10-4 완승을 거뒀다.
안타 3개 모두 깔끔한 라인드라이브 타구였을 정도로 타구의 질도 좋았다. 5회 처낸 2루타 때는 수비의 방심을 틈타 과감히 2루로 내달리며 빠른 발과 주루 센스를 선보였다. 적극적인 중견수 수비도 인상적이었다. 첫 경기라 예단하기는 이르나 공수주 모두 '합격점'이었다.
리베라토는 지난해까지 마이너리그 무대에서 주로 뛰다가 올 시즌 멕시코 프로야구 리그(LMB)로 발걸음을 옮겼다. 타고투저가 극심한 LMB라고는 해도 29경기 타율 0.373 8홈런 29타점 OPS 1.138로 맹타를 휘둘렀다.
이에 한화가 손을 내밀었다. 에스테반 플로리얼의 손 부상으로 외국인 타자 자리가 비었다. 결국 지난 17일 부상 대체 외국인 선수로 리베라토와 계약했다. 그리고 첫 경기부터 강한 인상을 남기며 플로리얼의 공백을 지워나가기 시작했다.
그런데 리베라토가 이런 활약을 끝까지 펼치면 플로리얼의 거취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 외국인 타자 2명을 쓰자니 코디 폰세-라이언 와이스 원투펀치가 너무 강력하다. 결국 리베라토의 6주 계약이 끝나는 시점에서 플로리얼과 리베라토 중 한 명은 포기해야 한다.
플로리얼은 올 시즌 65경기에서 타율 0.271 8홈런 29타점 13도루 OPS 0.783을 기록했다. 외국인 타자에게 기대하는 '압도적'인 퍼포먼스는 아니다. 그러나 1번 타자로 전환한 5월 21일 이후만 보면 이야기가 다르다.
플로리얼은 1번 타자로 처음 나선 5월 21일부터 손가락을 다친 지난 8일까지 17경기에서 타율 0.314 4홈런 7타점 4도루 OPS 0.951로 맹타를 휘둘렀다. 같은 기간 50타석 이상 소화한 57명의 선수 중 9위에 해당하는 높은 기록이다.
하필 타격감이 가장 좋을 시기에 부상을 입은 점이 아쉽다. 본인 과실도 아니고 손에 투구를 직격당한 것이라 더욱 뼈아프다.
그나마 올스타에 선정된 것이 위안이다. 베스트12 팬 투표에서는 총 156만 1,003표를 받아 나눔 올스타 외야수 부문에서 1위에 올랐다. 선수단 투표를 합산한 총점은 40.59점으로 2위다.
비록 지난 14일 부상자 명단에 오르며 올스타전 출전은 불발됐다. 7월 25일에야 복귀할 수 있어서 7월 12일 열리는 본경기에는 나설 수 없다. 그래도 올스타 선정 이력은 남고 관련 행사에도 참여할 수는 있다.
그런데 만약 리베라토가 맹활약을 이어가 만에 하나 플로리얼을 밀어낸다면, 올스타 행사가 플로리얼의 '마지막 인사'가 될지도 모른다.
외국인 선수가 올스타전을 끝으로 팀을 떠난 사례는 그간 2번 있었다. 2010년 넥센 히어로즈(現 키움 히어로즈) 덕 클락이 올스타전 직후 방출된 것이 처음이었다. 지난해에는 삼성 라이온즈 데이비드 맥키넌이 올스타전 출전을 마지막으로 KBO리그를 떠난 바 있다.
클락과 맥키넌은 외국인 타자치고는 부진한 편이었기에 방출이 납득이 가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플로리얼은 부상 직전까지 타격감이 좋았기 때문에 내보내기엔 아쉽다. 만약 진짜로 팀을 떠나게 된다면 이만큼 아이러니한 상황도 없을 것이다.
물론 이제 첫 경기다. 리베라토가 꾸준히 활약하지 못하면 고민은 자연스레 사라진다. 그러나 플로리얼의 거취를 걱정하는 상황이 나왔다는 것 자체가 이례적이다. 긍정적으로 보자면 대체 외국인마저 잘 한다는 점에서 '되는 집안'인 한화의 올 시즌을 상징하는 일면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진=한화 이글스, 삼성 라이온즈 제공
Copyright ⓒ 스포탈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