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승했지만 아쉬울 김혜성, 다저스 로스터 중 최소출전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3 조회
- 목록
본문
[스포츠한국 이재호 기자] 김혜성이 LA다저스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다저스의 포스트시즌 로스터에 포함됐던 모든 선수 중 가장 적은 출전 기회를 받은 선수로 기록됐다.

LA다저스는 2일(이하 한국시각) 오전 9시10분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의 로저스 센터에서 열린 2025 월드시리즈(7전4선승제) 7차전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원정경기에서 연장 11회초 나온 윌 스미스의 결승 솔로홈런으로 5-4 승리하며 시리즈 전적 4승3패 월드시리즈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9회초 1사까지 경기종료에 아웃카운트 두 개만 남겼던 다저스는 9번타자 미겔 로하스의 극적인 동점홈런, 9회말 1사 1,2루에서 어제 96구를 던진 야마모토 요시노부의 무실점 역투, 그리고 연장 11회초 나온 윌 스미스의 결승 홈런으로 2024시즌에 이어 21세게 최초의 2연속 월드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는 팀이 됐다.
반면 토론토는 아웃 카운트 2개를 남기고 역전 우승을 허용하며 1993년 이후 32년만에 우승을 놓치게 됐다.
이번 다저스 야수 로스터에서 백업으로 분류될만한 선수는 김혜성을 포함해 총 4명이었다. 외야수 저스틴 딘은 꾸준히 경기 막판 대수비로 나와 타석은 한번도 들어서지 못했어도 나름 12경기나 뛰었다. 백업 포수 벤 로트베트는 월드시리즈에 나오진 못했지만 신시내티 레즈와의 와일드카드 시리즈 2경기 선발,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디비전시리즈 교체로 2경기를 뛴 바 있다. 외야수 알렉스 콜은 앤디 파예스의 부진 속에 주전으로 기용되기도 했다.
하지만 김혜성만이 모든 야수 중 가장 적은 딱 두경기, 그것도 대주자와 대수비로 잠깐 나온게 전부였다. 물론 그 대주자로 나온 것이 지난달 10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디비전시리즈 4차전에서 연장 11회말 1사 후 1루 대주자로 나와 결승 득점을 한 가치는 있었지만 냉정하게 대주자의 능력보다 팀 타선이 해결한 점수였다.
그리고 이날 월드시리즈 마지막 연장 11회말 대수비로 나와 투수 땅볼때 1루에서 공을 잡은게 전부였다.

다저스 포스트시즌 투수 중에서 가장 적게 나온 것이 올시즌을 끝으로 은퇴하는 클레이튼 커쇼였는데 커쇼는 필라델피아와의 디비전시리즈에 선발로 나왔다가 2이닝 5실점을 했고 지난 월드시리즈 3차전 전설의 18회 경기에서 12회 2사 만루의 위기에 올라와 팀을 구원해내는 아웃을 잡는 짧지만 강렬한 임팩트를 보여준 바 있다.
김혜성은 이날 연장 11회말 2루 대수비로 나와 한번의 아웃카운트 처리를 했고 그렇게 월드시리즈 우승 순간을 함께했다.
결국 김혜성은 다저스의 포스트시즌 로스터에 포함된 전선수(투수 12명, 야수 13명, 겸업 1명) 26명 중 가장 적은 출전 기회인 딱 두경기에 나선 선수가 됐다.
분명 파예스의 심각한 부진, 대수비, 대주자가 필요했던 여러 상황들, 연장 18회까지 가는 승부 등 김혜성이 필요로 해보이는 순간이 다저스의 이번 포스트시즌 17경기에 꽤 있었다. 그러나 김혜성의 기회는 너무나도 제한적이었다.

스포츠한국 이재호 기자 [email protected]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