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가 차세대 국대 마무리 배출? 폭풍 158㎞+마구 포크볼, MLB가 주목한 잠재력 터지나
작성자 정보
- 최고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8 조회
- 목록
본문
[스포티비뉴스=사직, 김태우 기자] 등판한 투수를 소개하는 전광판의 기록에는 8점대 평균자책점이 찍혀 있었다. 보통 기대감이 없는 성적이다. 그러나 이 선수가 공 하나를 던질 때마다 사직구장의 롯데 팬들의 탄성을 내질렀다. 경기 결과보다는, 그저 이 투수의 투구를 즐겁게 지켜보고 있었다. 분명 뭔가 특별한 게 있었다.
롯데의 오랜 잊힌 유망주로 안타까움을 샀던 윤성빈(26)은 사직구장의 뜨거운 스타로 떠올랐다. 올해 전반적인 성적이 아주 좋지는 않지만 근래 들어서는 무시무시한 구위로 상대 타선을 찍어 누른다. 롯데의 히트 상품을 넘어 리그 전체의 주목을 받고 있다. 최고 150㎞대 중·후반의 빠른 공은 물론, 뚝 떨어지는 포크볼로 상대 타자들의 타이밍을 뺏는다. 간단한 조합인데 알면서도 치기가 어렵다. 그만큼 구위가 좋다.
오랜 기간 구단이 기대했던 완성형 선발로 크지는 못했지만, 불펜으로 전향한 것은 신의 한 수가 됐다. 최근 들어서는 11경기 연속 무실점을 이어 나가고 있다. 이제는 필승조로 써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성적과 구위다. 선수로서도 경력에서 가장 신이 나는 시기다. 데뷔 후 아쉬움과 비판 혹은 비난은 받아봤어도 이런 환호를 모은 적은 없다. 올해의 반전 후보다.
8일 경기에서도 위력을 발휘했다. 0-1로 뒤진 8회 마운드에 오른 윤성빈은 선두 박성한을 3구 삼진으로 처리했다. 박성한은 리그를 대표하는 선구안 좋은 타자다. 3구로 삼진을 잡기 매우 어려운 선수다. 그러나 초구 스트라이크를 잡은 윤성빈은 2구째 패스트볼로 헛스윙을 유도한 뒤 3구째 떨어지는 포크볼로 헛스윙 삼진을 잡아냈다. 높은 쪽 패스트볼과 떨어지는 포크볼의 조합이 일품이었다.
후속 타자인 지난해 타격왕 기예르모 에레디아와 승부에서도 초구 시속 156㎞ 패스트볼로 헛스윙을 유도했다. 콘택트 능력 하나는 리그 최고수 중 하나인 에레디아 또한 마음 먹고 방망이를 휘둘렀으나 윤성빈의 구위는 에레디아 생각 이상이었다. KBO리그 역대 홈런 1위인 최정도 패스트볼과 포크볼의 조합을 보여준 끝에 헛스윙 삼진 처리했고, 한유섬을 우익수 뜬공으로 처리하며 이날 등판을 순조롭게 마쳤다.
KBO리그 공식 구속 측정 플랫폼인 ‘트랙맨’의 집계에 따르면 이날 윤성빈의 패스트볼 최고 구속은 시속 157.8㎞에 이르렀다. 한화의 강속구 듀오인 문동주 김서현을 제외하면 윤성빈보다 빠른 공을 던지는 국내 투수는 없다. 여기에 140㎞대 중반의 포크볼이 예리하게 떨어졌다. 사실 윤성빈을 상대로는 패스트볼에 초점을 맞추고 들어갈 수밖에 없다. 말 그대로 상대가 공을 던지는 시점부터 빠르고 힘 있게 방망이가 나와야 한다. 그런데 여기서 포크볼이 잘 떨어지면 사실 대처하기가 매우 어렵다.
칭찬을 자주 하지 않는 김태형 롯데 감독조차 윤성빈의 최근 투구에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울 정도다. 올해 윤성빈의 투구 업그레이드 보고를 받은 김 감독은 처음에는 선발로 써 볼 생각을 했다. 하지만 선발 등판 경기에서 너무 부진했다. 그래도 어떻게든 활용을 해보려고 불펜 전환을 계획했다. 그 결과는 달콤하다. 이것저것 생각하지 않고 1이닝만 막는다는 생각으로 전력 투구를 하자 윤성빈의 잠재력이 폭발하고 있다. 굳이 많은 변화구를 던지지 않아도 되기에 가장 자신이 있는 구종 위주로 경기를 풀어나가는 것도 도움이 된다.
김 감독은 “중간으로 잘 돌렸다. 너무 아까웠다. 2군에서 워낙 좋았지 않나”면서 “방법을 찾다가 ‘그냥 중간에서 한 번 써봐라, 오히려 중간에서 더 편할 수도 있다’고 했다. 계속 잘 던지더라. 결국 본인이 잡은 것이다. 선발이 더 부담스러울 수도 있다. 오히려 (불펜이) 본인에게 더 맞지 않나 그런 생각이 든다”고 했다. 김 감독은 “내가 봐도 자신감이 붙었다”고 흐뭇한 미소를 지었다.
세트포지션 또한 2군에서 많이 연습을 해왔다는 게 김 감독의 분석이다. 한 해설위원은 “아직 더 지켜봐야겠지만 스트라이크존 안에 패스트볼을 넣을 수만 있다면 김원중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될 수도 있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김원중의 나이가 많은 것은 아니지만 그 뒤를 이을 차세대 마무리로 클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제구와 커맨드의 일관성은 지켜봐야겠지만, 최근 11경기 무실점 기간의 투구 내용은 리그의 그 어떤 마무리보다도 위력이 있는 게 사실이다. 그냥 존 안에 넣어도 못 치는 선수는 흔하지 않다.
어린 시절부터 대형 유망주로 큰 기대를 모았고, 롯데와 계약하기 전에는 메이저리그 구단들의 커다란 관심도 받았던 선수다. 계약금만 4억5000만 원이었다. 비록 방황의 시간이 길었고, 군 문제 해결하지 못해 변수는 있다. 지금의 경기력을 적어도 한 시즌은 유지해야 한다는 과제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어린 시절 왜 모두가 이 선수에게 빠졌던 이유를 조금씩 확인해가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자료
-
이전
-
다음